연구실 공유 폴더를 WebDAV 프로토콜을 활용하여 운영 중인데, 특정 용량 이상 파일의 경우 윈도우 컴퓨터에서는 접근이 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파일을 그냥 열면 프로그램 내에서 오류가 뜨고, 파일만 복사를 하려고 해도 0x800700DF 오류가 뜨며 접근이 불가능하다. 대체로 다루는 작은 파일들에서는 문제가 없었고 맥에서는 발생하지 않았기 때문에 매번 참고 넘어갔으나, 최근 공유폴더 내 고용량 파일을 윈도우 사용자들과 함께 다루게 되니 불편이 생겨 잠깐 찾아보았으며… 버그가 아니라 기능이었다.

[Folder copy error message when downloading a file that is larger than 50000000 bytes from a Web folder](https://support.microsoft.com/en-us/help/900900/folder-copy-error-message-when-downloading-a-file-that-is-larger-than)
윈도우 XP부터 해당되며 윈도우 10은 목록에도 없는 유서 깊은 지원문서이지만 윈도우 10에서도 동일한 것으로 보인다. 윈도우 XP SP2에서 적용된 기능으로 WebDAV 서버 내 50 MB 이상의 파일에 접근하려고 하면 클라이언트 컴퓨터에서 이를 denial-of-service 공격으로 판단하여 제한한다고 한다. 해결법은 다음과 같다.
  1. Regedit 실행
  2. 다음 경로로 이동: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WebClient\Parameters
  3. FileSizeLimitInBytes 아이템의 값을 넉넉하게 변경 (기본 50MB, 해당 값이 없을 경우 동명의 DWORD 값으로 작성)
  4. 재시동

넉넉하게 1GB 정도로 설정해주니 문제 없이 잘 동작한다. 컴퓨터마다 설정해줘야 하는 번거로움은 있지만. WebDAV 자체가 그리 안정적이지 않은 편이므로 1GB 이상의 파일은 다른 방식으로 다루는 것이 좋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