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cOS: CONVMV와 Automator 사용을 통한 유니코드 정규화 호환성 해결

2015년부터 macOS(당시엔 OS X)를 주력으로 사용해 왔는데, 당시에는 가상머신이 있어도 윈도우 컴퓨터가 별도로 없으면 사무를 보기가 거의 불가능할 정도였다. 2020년인 지금은 가상머신 없이도 윈도우를 켤 일이 거의 없다시피 할 정도로 많이 발전했지만 여전히 문제가 되는 것 하나는 윈도우나 리눅스로 보낸 파일명의 자소분리 현상이다. Fig. 자소분리 현상 (Source: https://skjo929.blog.me/222036684719)" 맥에서 파일명이 한글인 파일을 윈도우나 리눅스로 보내게 되면 윈도우와 리눅스는 유니코드 정규화 NFC 방식을 쓰고 맥은 NFD 방식을 사용하여 생기는 문제인데, 둘 다 인정되는 표준이므로 어느 한쪽의 잘못이라고 하긴 어렵지만 실질적으로 맥에서 보낸 한글명 파일들만 자소분리가 되므로 자연스레 맥의 문제라고 간주하게 되기 마련이다. ...

2020-08-20 · 3 min · 604 words · Hoo H. Kim